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네비게이션 바로가기

의료진 소개

  • 의료진 소개

    안녕하세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최혜연입니다.

     

    주 진료 분야는 뇌졸중,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 뇌혈관질환입니다.

     

    뇌경색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한 이후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최대한 빨리 검사 및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강동경희대병원에서는 BEST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급성 뇌경색이 의심되는 환자가 혈전용해치료나 혈전제거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간 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경우, 의사의 진찰, 혈액검사, 뇌 CT 검사 등을 빠르게 진행하여 결과적으로 최대한 빨리 치료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의심되는 환자가 응급실로 내원하면, 전산시스템을 통해 해당 환자가 혈전용해치료나 혈전제거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임을 표시합니다. 전산표시가 되면, 혈액검사나 뇌 CT 검사가 일반 응급실 환자보다 더 빨리 진행되며, 각 의료진도 해당 환자가 뇌경색 응급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진찰 및 검사가 끝나면 이를 토대로 정맥 내 혈전용해치료, 동맥 내 기계적 혈전제거술 등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최대한 빨리 해당 치료를 진행합니다.

     

    또한, 급성기 뇌졸중환자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게 되는데, 뇌졸중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는 일반병실에서 치료받은 경우보다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고 뇌졸중증상의 회복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뇌졸중 집중치료실은 급성기 뇌경색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와 강동경희대병원 병원 뇌졸중 치료팀은 뇌졸중의 예방, 진단 및 치료와 후유증 관리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진료분야 소개

    뇌졸중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존하더라도 신체 마비, 의식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환자뿐 아니라 그 가족마저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나뉘는데,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병입니다. 뇌혈관이 막히게 되면, 문제가 생긴 뇌혈관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던 뇌 일부분이 망가지게 되어 기능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팔, 다리의 마비, 언어장애, 시야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뇌혈관이 막혀서 피가 통하지 않으면 뇌세포들이 죽기 시작하고, 어느 정도 이상 시간이 지나면 다시 피가 통해도 망가진 뇌세포가 다시 살아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세포가 다 죽어버리기 전에 빨리 막힌 혈관을 뚫어줘서 혈액이 다시 공급되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급성 뇌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최대한 빨리 응급실로 오셔야 혈전을 녹이거나 꺼내는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은 발생 이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심방세동(부정맥) 등의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그 위험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 인자를 갖고 있지 않은 분들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최근 들어 뇌졸중의 발생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 준비 중입니다.

    논문

    논문 리스트 정보 제공

    저서

    저서 리스트 정보 제공

    수상이력

    수상이력 리스트 정보 제공
로딩중 페이지 로딩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로딩중